본문 바로가기

잘 공부하고/MarkStrat (StratX)

[MarkStrat] 초보자를 위한 설명과 팁

대학교에서 마케팅 전략 수업을 하며 센스있는 교수님 덕에 XStrat의 MarkStrat을 해볼 기회가 생겼습니다.

MarkStrat은 교육용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수업에서 배운 지식을 재미있게 간접적으로 써볼 기회를 줍니다.

무엇보다 수업에서 배운 점들을 적용해볼 수 있고

어떤 생각치 못한 변수들이 생길 수 있는지 알 수 있어 많이 즐거웠습니다.


하지만 이 게임이 할 수 있는 것도 많아 적응하고 이해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막상 이해하고 나면 아주 재미있게 갖고 놀 수 있는데 말이죠. ㅠㅠ

끝에 와서야 간신히 적응하고 즐기기 시작한 팀원들을 보며 아쉽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해당 시뮬레이션 게임을 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을 위해

혹은 해당 게임을 시작하실 분들이 잘 적응하고 재미있게 게임을 할 수 있게

이 시뮬레이션 게임에 대한 설명과 몇가지 팁을 드리고자 합니다!


설명과 팁, 두 파트로 나누어서 작성하려고 합니다.

다른 파트로 넘어갈 수 있는 링크는 하단에 두어 클릭으로 바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핸드북을 읽었는데 설명이 더 필요한가요?'

라고 생각하실 분이 계시겠지만...


일단 글로만 읽는 것과 보면서 설명을 듣는 것은 매우 다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도 교수님께 설명도 듣고 핸드북도 완독하였지만 막상 시작할 때는 허둥지둥댔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리고 핸드북을 안 읽으신 분들이 있다면, 그분들을 위해서

시뮬레이션 게임의 기능들을 이해하고 재미있게 갖고 놀 수 있기 위해

최소한으로 알고 있어야 되는 필수적인 정보들을 설명 해두려고 합니다.


하지만 글 쓰기에 앞서 이야기 드리고 싶은

주의하셔야 할 점이 있는데요.


해당 게임은 다른 사람들과 하는 게임이기에

다른 팀 혹은 개인들이 어떤 전략을 펼치는지에 따라 상황이 달라집니다.

교수님이 다른 팀들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보여준 적이 있는데...

다들 가지각색이어서 흥미롭게 봤습니다.ㅎㅎ

'다른 기업들이 무엇을 하느냐 달라진다'

라는 점을 유의하며 팁은 참고용으로 봐주시길 바랍니다.


관련 포스트 바로가기:

[MarkStrat] 초보자를 위한 설명과 팁

[MarkStrat] Market Research Studies 기능 설명과 팁 (+기타 자료 분석)

[MarkStrat] 1등 기업을 만드는 10가지 팁!


목차 바로가기:

--- 세계관 설명 ---

Sonite

Vodite

--- 본격적인 게임 스타트: Decide 기능들 ---

Marketing Mix

Commercial Team

Marketing Research Studies

Research & Development

Marketing Plan

--- 마무리... ---



세계관 설명

먼저 세계관을 간단히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세계관을 이해하는 것이 별거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아주 중요한데요.
왜냐하면 대상을 이해해야 어떻게 공략할지도 감이 잡히기 때문입니다.

필요에 의해 핸드북에 나와있는 이야기도 조금 하겠지만,
주로 시뮬레이션 게임을 위해 꼭 알아야 하는 부분들만 이야기하겠습니다.

먼저 팔 수 있는 제품은 Sonite(소나이트) 그리고 Vodite(보다이트) 제품으로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해당 제품들은 각각 다른 시장, 특성, 그리고 고객층을 갖고 있는데요.

Sonite (소나이트)

Sonite 제품 설명

Sonite 제품은 기존 시장이 존재하고 시뮬레이션 게임에 참여하는 모든 기업들이 시작할 때 각각 2개씩 갖고 시작합니다.


Sonite 제품은 "(기업명 앞글자) + O + 그외"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R기업의 Sonite 제품은 앞 두 글자는 꼭 "RO"로 구성되어야 하니, "ROCK" 혹은 "ROLL" 등의 이름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해당 제품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는데요:
    1. Features (총 기능의 수)
    2. Design (디자인)
    3. Battery (배터리 사용시간)
    4. Display (화면 크기)
    5. Power (처리 능력)
    6. Price (가격)
솔직히 각 특성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어떤 고객층이 어떤 특성을 좋아하는지가 중요합니다.
다만, 각 특성마다 R&D (연구개발)을 할 때 드는 비용이 다릅니다.

그리고 Sonite은 실제 존재하는 재품이 아니기에 이해하기가 어려우실텐데요.
'노트북'이라고 생각하고 진행하시면 편할 거라 생각됩니다.

Sonite 고객층

Sonite 고객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High Earners (고소득 층)
  2. Professionals (전문가 층)
  3. Explorers (탐구형 층)
  4. Shoppers (쇼핑형 층)
  5. Savers (절약형 층)
1번에 가까울 수록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사가 있으며, 5번에 가까울 수록 낮은 가격을 선호합니다.

각 고객층의 특징을 정리하자면:

 

소득 

용도 

선호 가격대 

선호 제품 특성 

 High Earners 

고소득

개인 용도

높은 가격대

성능

편의

 Professionals 

-

개인 용도

전문적 용도

높은 가격대

품질

성능

편의

 Explorers

중소득

개인 용도

낮은 가격대

성능

 Shoppers

-

개인 용도

낮은 가격대

성능

편의

 Saverrs

-

-

낮은 가격대 


보다 상세한 설명과 정보는 핸드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Vodite (보다이트)

Vodite 제품 설명

Vodite 제품은 기존 시장이 없습니다. 참여하는 기업들에게 기본으로 주어지는 제품이 없다는 말인데요.
해당 제품은 추후 돈이 생기면 그 돈을 연구개발에 투자하여 신제품으로 출시할 수 있습니다.

Vodite 제품은 "(기업명 앞글자) + E + 그 외"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자면, R기업의 Vodite 제품의 앞 두 글자는 꼭 "RE"로 구성되어야 하니, "READ" 혹은 "REAP" 등의 이름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해당 제품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1. Resolution (화질)
    2. Energy (에너지 효율)
    3. Carbon (이산화탄소 배출 총량)
    4. Connectivity (연결망 구축 능력)
    5. Apps (사용 가능 앱 수)
이 또한 어떤 특성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보다 어떤 고객들이 어떤 특성들을 좋아하느냐가 더 관건입니다.

그리고 Vodite는 '스마트 TV' 혹은 '스마트 냉장고'라고 생각하고 진행하시면 조금 더 이해하기 편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Vodite 고객층

Vodite 고객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Innovators (혁신 주도자)
  2. Early adopters (얼리 어댑터)
  3. Followers (추종자)
1번에 가까울 수록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사가 있으며, 3번에 가까울 수록 낮은 가격을 선호합니다.

각 고객층의 특징을 정리하자면:

 

신제품 사용 의향

시장 크기

영향력

소득

 Innovator

높음

큼 → 작음

보통

평균 이상

 Early Adopters

보통

보통

평균

 Followers

낮음

작음 → 큼

작음

평균 이하

보다 상세한 설명과 정보는 핸드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격적인 게임 스타트: Decide 기능들


Decide에 들어가면 볼 수 있는 화면인데요.

게임을 담당하는 교수님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어떤 기능이 있든지 첫 라운드에서 제일 먼저 해야 되는 일은 브랜드 이름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첫 라운드가 지나면 지정할 수 없게 됩니다.


이제 각각의 기능들이 무엇을 의미하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설명하겠습니다.

설명하자면 끝이 없기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위주로만 설명하겠습니다.

Marketing Mix (마케팅 믹스)

Marketing Mix는 제품에 대한 거의 모든 결정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먼저 들어가면 담당하고 있는 모든 브랜드들이 아래와 같이 뜨는데요.


파란 부분의 브랜드 이름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해당 브랜드에 대한 화면이 뜹니다.


해당 화면에서 브랜드에 대한 생산량, 가격, 광고비용 등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제품 생산은 천 단위로 설정하여야 합니다.


가격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한번에 너무 낮출 수 없습니다.

덤핑 의혹을 받으며 해당 시도가 막아집니다.


Advertising (광고비 투자) 밑에는 좀 여러가지가 있는데...

Media는 광고비용입니다. 주로 노출도와 관련이 있으며 브랜드 인지도와 관련됩니다.

Research는 광고 연구...인데 광고의 품질을 높여줍니다. 약 400정도면 Excellent 평가를 받는 듯합니다.


그 밑에는 고객층 별로 숫자를 넣게 되는데

이는 광고가 각 고객층의 몇 퍼센트 정도를 할당하며 광고하느냐라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위와 같이 Profs (전문가 층)을 노린다면, 해당 층에 더 높은 퍼센트를 기입하고 Savers(절약형 층)은 노리지 않기에 0으로 넣어줍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해당 숫자는 퍼센트를 의미하기에 고객층 분배 총합이 100이여야 합니다.

100이 안 되면 해당 결정이 저장되지 않습니다.


Perceptual Objectives는 광고 목적을 의미합니다.

Semantic Scales 혹은 Multidimensional Scaling에 따라 목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최대 두 가지 항목까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해당 옵션은 사람들이 해당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Semantic Scale과 Multidimensional Scaling에 대해서는 Marketing Research Studies (마케팅 조사)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Commercial Team

Commercial Team을 누르면 해당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이건 백분율이 아니라 얼만큼의 사람을 해당 브랜드의 해당 채널에 배치할 것인지를 의미합니다.

1명 당 약 $25~30k의 비용이 듭니다.

더 많은 사람들을 해당 채널에 배치할 수록 해당 채널에서 팔리는 제품의 수가 증가합니다.

브랜드에 대한 고객층을 설정하고 해당 고객층이 많이 사용하는 채널에 투자하는 식이 좋습니다.

 Market Research Studies (마케팅 조사)

Market Research Studies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많이 당황스러우시죠? ㅎㅎ 아마 이게 다 뭘까 싶으실 겁니다.

하지만 마케팅 조사는 고객들과 경쟁사의 행보를 파악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정보기에 해당 정보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용도는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고객 조사, 경쟁 기업 조사, 광고 효과 조사.

각각의 용도에 해당되는 조사들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객 조사 

경쟁 기업 조사

광고 효과 조사

Consumer Survey

Consumer Panel

Semantic Scales

Multidimensional Scaling

Conjoint Analysis

Market Forecast

Benchmark

Consumer Survey

Consumer Panel

Distribution Panel

Competitive Advertising

Competitive Commercial Team

Competitive Advertising

Competitive Commercial Team

Advertising Experiment

Commercial Team Experiment



해당 조사들은 주문을 하고 한 라운드가 지나면 "Market Research" 탭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Market Research 탭 모습

각 아이콘의 좌측 상단에 "S"나 "V"가 적혀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S"는 Sonite에 해당되는 조사 결과를 의미하고

"V"는 Vodite에 해당되는 조사 결과를 의미합니다.

작성하다보니 해당 부분에 대한 설명이 길어져 별도의 포스트를 작성하였습니다.

각 조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팁은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Research & Development (연구개발)


Market Plan (마케팅 계획)

해당 기능은 잘 쓰기 다소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안 쓰셔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기능들을 모두 숙지하셔서 더 많은 기능들을 알고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해당 기능을 활용하는 것도 보다 좋은 결정을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해당 기능은 Marketing Mix에 넣어 둔 결정, 그리고 Market Forecast와 Consumer Survey & Panel에서 얻은 정보를 기반으로 다음 Period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마무리...

MarkStrat은 정보를 가지고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 것이 핵심인 시뮬레이션 게임입니다.
그래서 가능한 다양한 정보를 이해하고 결정을 내리기위해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잘 알아야 합니다.

이 포스트는 MarkStrat을 시작하기에 앞서 초보자를 위해 기본 중의 기본을 설명해 놓은 포스트입니다.
Market Research 그리고 기타 자료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법을 알아 두시면 상황을 더 유리하게 끌고 가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결국 한정된 자원 안에서 최선의 선택을 내려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핵심인 게임입니다.

모두들 할 수 없는 것보다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다 보면 우여곡절과 문제가 생겨도 재미있게 게임을 즐기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